728x90
문제)
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. 이 도화지 위에 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.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.
입력)
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.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.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,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.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,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.
출력)
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.
from sys import stdin; input=stdin.readline
white = [[0 for _ in range(100)] for _ in range(100)]
for _ in range(int(input().strip())):
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for i in range(y, y+10):
for j in range(x, x+10):
white[j][i] = 1
print(sum([sum(row) for row in white]))
풀이 : 이번문제의 핵심은 중복되어 붙여진 위치를 중복계산하지 않는 것이다. 그래서 덮여지는 위치를 그냥 1로 채우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00 x 100의 큰 도화지에서 채워진 부분을 더하는 방식을 선택했다. 이러면 중복이 되어도 그 곳의 값은 그냥 1이기 때문에 중복을 신경 쓸 필요없이 덮어진 모든 부위를 계산하여 출력해주면 된다.
'~202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) 5554 - 심부름 가는 길 [파이썬3] (0) | 2022.12.08 |
---|---|
백준) 1032 - 명령 프롬프트 [파이썬3] (0) | 2022.11.29 |
프로그래머스) 점프와 순간 이동 [파이썬3] (0) | 2022.11.06 |
프로그래머스) 구명보트 [파이썬3] (0) | 2022.10.19 |
백준) 1063 - 킹 [파이썬 3] (0) | 2022.10.10 |